-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솔라루프란?카테고리 없음 2021. 11. 10. 20:57반응형
| 현대.기아차 솔라루프 |
솔라루프? 저도 차에대해 관심이 많이 없었는데, 요즘 갑자기 관심이 생겨서 알아보게되었는데요, 그 중에 갑자기 신기하고 처음들어보는 단어를 접하게되었습니다.
솔라루프 차량 솔라루프라는 단어인데요. 아마 아시는 분들은 아실 거 같은데 아직 많이 쓰이지 않아서 많이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오늘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현대,기아차에서는 솔라루프를 개발하여 상용화를 하고있는데요, 솔라루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솔라루프 차량2 현대 자동차 2025 의 목표로 제네시스는 EV로만 출시한다고 하는데요, 현대자동차의 변화의 모습이 점점 더 가속화 되어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전기차에 대한 제작, 수요가 많이 늘어나고 우리나라에서도 2035년에는 내연기관 차들이 사라지는 규제를 진행하려고 하고 있는데요. 전기차의 전기에 대한 부분이 핵심일 거 같은데요. 그 핵심기술 솔라루프에 대해 알아볼게요!
| 솔라루프란? |
솔라루프는 차량 위쪽에서 태양광에너지를 받아 베터리를 충전해서 충전된 배터리로 자동차 방전 방지, 차량주행보조 기능이 있습니다.
연구원들이 직접 연구하고 개발한 제품으로 1세대부터 3세대 솔라루프가 개발되어있습니다.
솔라시스템은 메인 동력이 아니라 보조 동력입니다. 솔라시스템이 친환경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 하거나 내연기관 자동차 동력 일부를 돕는 형태입니다.
현대·기아차는 1세대 실리콘형 솔라루프, 2세대 반투명 솔라루프, 3세대 차체형 경량 솔라리드 등 세 가지 형태의 솔라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먼저 친환경차 일반 루프에 양산형 실리콘 태양전지를 장착한 형태입니다.
내연기관 모델에 적용할 2세대 반투명 솔라루프는 개방감을 원하는 소비자를 위한 투과 및 개폐형 옵션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현대 자동차 2025 에서 언급했듯이 전기차에 대한 비전이 확고하다고 생각이듭니다.
내연기관 자동차에 솔라시스템이 확대 적용되면 총 대상 차종 판매량이 증가해 북미/유럽/국내 지역별 탄소크레딧을 통한 환경법규 비용 절감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마지막으로 친환경 모델에 적용하기 위해 선행연구 중인 3세대 차체형 경량 솔라리드가 있습니다. 출력 극대화를 위해 차량 리드(본닛 부분)와 루프 강판에 태양전지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차량 위 솔라루프에서 태양광 에너지를 받아서 솔라제어기에 에너지가 보내지고 그 에너지가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솔라루프 =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역할
솔라제어기= 전기에너지가 배터리 충전을 위해 차량의 전원체계를 최적화 하는 역할을 함
솔라시스템은 솔라패널과 제어기, 그리고 배터리 세 가지로 구성됩니다. 먼저 솔라패널에서는 태양광이 태양전지 셀 표면에 입사되면 전자와 정공으로 분리되면서 에너지가 발생합니다.
100W급 솔라패널 장착 시 1Sun 기준(여름철 정오, 1000 W/㎡ 광량)으로 100W를 생산해내죠. 즉 1시간 태양광을 받으면 100Wh 에너지를 저장하는 게 가능합니다.
제어기에서는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와 변압이 이뤄집니다.MPPT란 솔라셀에 모인 전력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압,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말합니다.이렇게 발전된 DC 전력은 제어기를 통해 차량의 기준전압으로 변압되어 배터리에 저장되거나 알터네이터 부하를 낮추는데 사용됩니다.
| 솔라시스템의 효과 |
현대와 기아차는 19년도에 1세대 솔라루프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차량의 선루프 위치에 태양광패널를 제작해 붙이고 솔라제어기를 통해 자동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 기술의 개발은 연비 뿐 아니라 친환경적인 에너지 사용으로 더욱 미래적 기술이 완성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세대 솔라루프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여름철 하루 58%, 겨울철에는 하루 30%까지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며, 실도로 운전에서의 연비 상승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은 물론 탄소 배출도 현저히 줄어듭니다.
탄소 배출에 점점 깐깐해지고 있는 글로벌 추세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거죠.
현대·기아차는 솔라시스템을 개발하면서 효율과 디자인적 측면을 가장 크게 고려하고 있습니다. 차량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효율을 높이고, 디자인도 훼손하지 않는 솔라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죠.
현대·기아차는 현재 2019년 이후 출시될 친환경 자동차에 1세대 솔라루프를 적용하기 위해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연비 향상으로 주행거리를 늘려 운전자 사용편의를 높이는 동시에 글로벌 환경규제에 대비하는 솔라시스템. 태양에너지가 자동차를 달리게 할 날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반응형